MY MENU

연구목적

연구 주제

  •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연구 목적

  • 강원지역에 산재한 한국학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분석
  • 표준화된 형식의 한국학 지식콘텐츠로 가공·집적
  • 학술적·교육적 활용 기반 및 학술 인프라 구축

본 연구과제는‘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이다. 그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학자료센터에서는 국내외에 산재한 한국학 고전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분석 하여, 학술적·교육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학 고전 자료에 대한 사실 정보와 특화주제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적으로는 영남권과 호남권만 설정되고 강원권이 소외되는 등, 전국으로 확대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강원지역은 인구가 적고 농경지보다 산림이 많은 인문·자연환경으로 말미암아 한국 학자료의 생산이 다른 지역보다 많지 않은 곳으로 인식되었다. 게다가 강원지역은 한 국전쟁의 격전지로 폐허가 되고 사람들의 離散이 거듭되었기 때문에 보존된 자료의 양 도 다른 지역에 비해 적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그동안 ○○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소 고문서연구센터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는 강원지역을 대상으로 한국학자료의 현황 조사를 여러 차례 실시한 결과, 강원지역에도 다양한 한국학자료가 소재하고 있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연구센터의 집계에 따르면, 2015년 4월 현재 강원지역에는 모두 138개 소장처에 약 5만여 건의 고문서‧고서가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지역의 한국학자료는 대부분 가문·기관·단체·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 중에서 기관 소장 자료를 제외한 나머지는 자료의 이동이나 멸실의 가능성이 높다 는 점에서 자료 관리가 취약하다. 더욱이 기관 소장 자료들마저도 전문 인력과 예산의 부족으로 인해 체계적인 문서 관리 및 보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연구센터에서는 2009년부터 시급한 조사가 필요한 가문·단체·기관·개인 소장처의 한국학자료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수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5년 4월 현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연구센터에서 는 총 20,764건의 한국학자료에 대한 목록화를 완료하고 디지털이미지를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진다.

첫째, 강원지역에 산재한 한국학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분석한다.

현재 강원지역의 한국학자료들은 18개 시군의 115개 소장처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유존 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 중에는 단행본 형태의 자료집 에 의해 그 내용이 알려진 것도 있으나 자료의 대표이미지나 간략한 서지사항만 기술 된 경우가 많아, 연구자들이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더욱이 한번 오독된 내용이 확대·재생산되어 잘못된 연구결과를 양산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에서는 일차적으로 조사·수집된 다양한 자료의 서지사항과 주요내용을 정확 하고 상세하게 파악하여 그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자료의 기본적인 내용뿐만 아니 라 자료들 간의 공간체계, 인적 계보 및 네트워크를 고려한 입체적인 심층해제를 작성 하여 제공한다.

둘째, 강원지역 한국학 자료를 DB화하여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를 구축하고, 표준화 된 형식의 한국학 지식콘텐츠로 가공·집적한다.

수집·정리·분석된 강원지역 한국학자료는 주제별·유형별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 여 다른 권역과 동일한 체계속에서 DB로 구축한다. 이는 강원지역 한국학자료의 내용 을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다른 지역 고문서·고서 및 국가전적과의 교차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강원지역을 포함한 한국학자료센터의 모든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축적하는 기반을 만들어 새로운 학문적 성과를 창출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지역의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인물과 생활’, ‘경제 및 소통’, ‘학문과 교유’라는 주제로 특화콘텐츠를 개발·제공한다. 이러한 주제는 특정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이다. 그리고 지역의 차원에서의 다양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상황을 조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강원지역 한국학자료를 바탕으로 한 학술적·교육적 활용 기반 및 학술 인프라 를 구축한다.

DB화된 강원지역 한국학자료를 웹서비스의 방법으로 공개한다는 것은 자료의 접근 에 시·공간의 제약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연구자와 일반인들이 언제 어디서 나 강원지역 한국학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향후 학술적·교육적 활용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토대 기반 및 학술 인프라의 구축은 결국 한국학 자료의 원활한 보급과 대중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센터에서는 지속적인 고문서·고서의 조사· 수집 및 정리·자료집 발간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그간의 경험을 활용하여 이 사업을 추진하 고자 한다. 다음은 지난 10년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고문서센터에서 수행하였던 사업 내역이다.

사 업 명 사업기간 계약금액
(천원)
발주처
횡성군 근현대사자료 조사 2004.04.17 ~ 2004.10.31 12,000 국사편찬위원회
관동지 1·2차 번역용역 2005.09.12 ~ 2007.10.03 172,700 가우언도청
홍천군 근현대사자료 조사 2005.04.12 ~ 2005.11.20 15,000 국사편찬위원회
춘천시 근현대사자료 조사 2006.04.03 ~ 2006.11.20 18,500 국사편찬위원회
해동제국기의 역사.지리에 대한 종합적 연구 2006.07.01 ~ 2007.06.30 148,819 한국학술진흥재단
강원지역 고문서의 조사정리 및 기초연구 사업 2006.08.01 ~ 2007.07.30 30,000 한국학중앙연구원
양구군 6·25전쟁 자료조사 2007.12.31 ~ 2008.10.25 13,162 양구군청
양구군 근현대사자료 조사 2008.04.17 ~ 2008.10.31 7,500 국사편찬위원회
양구 심곡사지.두타사지 학술조사 2008.10.20 ~ 2009.06.16 19,800 양구군청
강원지역 고서·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호적류·소지류)간행사업
2009.03.01 ~ 2011.02.29 257,520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창군 근현대사자료 조사 2010.03.15 ~ 2010.10.15 16,000 국사편찬위원회
양구백자·백토 학술자료집 간행사업 2011.07.20. ~ 2012.05.15 43,200 양구군청
춘천 소재 장정골 신숭겸장군 유적 연구 및 자료수집 사업 2012.07.17 ~ 2013.02.16 35,000 평산신씨 대종중
인제동학운동 및 동경대전 간행관련 학술조사 2013.06.10 ~ 2014.01.05 25,344 인제군청
인제군지 편찬 기본계획 수립 및 기초자료조사 학술용역 2014.12.08 ~ 2015.04.06 18,000 인제군청